보건복지부, 장애인 건강검진 활성화 위한 장애인 건강검진기관 종사자 교육 실시 장애인 건강검진기관 종사자 대상으로 총 3회 실시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
2025. 05. 13(화) 12:37 |
![]()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는 장애인이 국가건강검진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받을 수 있도록 장애인 건강검진기관을 지정하고, 시설·장비·인력을 갖추도록 지원하고 있다. 현재 112개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운영을 개시한 곳은 21개소이다.
이번 실무 교육은 장애인 건강검진기관 종사자(이하 ‘종사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장애인 건강검진기관 지원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장애인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 운영된다.
국립재활원 장애인건강사업과와 장애인건강검진센터가 협업하여 진행하는 이번 교육은 대면 교육으로 회차당 12명 내외로 진행되며, 장애의 이해, 장애 유형별 검진 시 주의사항, 시설 견학 및 실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립재활원은 2018년부터 다양한 종사자 교육을 운영해 왔고, 특히, 종사자가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하는 온라인 교육을 매년 운영하고 있다.
2024년에는 팀장급 종사자를 대상으로 보조기기 및 장애체험 실습 등을 포함한 대면 교육을 운영하여 86개 장애인 건강검진기관에서 89명 참여하는 등 높은 참여도를 보였다.
또한, 국립재활원은 2021년 10월 국가기관 중 최초로 장애인 건강검진센터를 개소하여 장애인 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며, 그간 축적한 다양한 사례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장애 유형별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매뉴얼을 개발하는 등 장애인 건강검진 활성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
특히, 이번 교육은 이론 교육 외 각 파트별 실습(기초검사, 채혈실, 영상의학과 등)까지 포함하여 실제 업무에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를 계기로 전국의 장애인 건강검진기관이 모여 다양한 사례를 공유하고, 서비스 개선을 위한 의견을 나눔으로써 장애인 건강검진 서비스가 더욱 발전·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립재활원 강윤규 원장은 “이번 장애인 건강검진기관 종사자 실무 교육을 통해 종사자들의 전문성과 장애인 건강검진 서비스 질 향상으로 장애인들의 만족도 및 검진 접근성을 향상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라며,“앞으로도 장애인의 건강권 강화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