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회, 광주시 1급 발암물질 지하수 오염 2년 방치… 박수기 시의원, “강기정 시장의 무책임·안일 행정 강력 질타”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2025. 07. 15(화) 12:27
광주광역시의회 박수기 의원 시정질문
[시사토픽뉴스]광주시의 안일하고 무책임한 행정이 1급 발암물질로 오염된 지하수를 2년 넘게 방치하여 시민들의 생명과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광주시의회 박수기 의원(광산구5)이 15일, 제334회 본회의 시정 질문을 통해 광주시의 안일한 대응을 강력히 비판하며, 강기정 시장에게 즉각적인 안전조치를 촉구했다.

지하수 발암물질 오염 심각… 2년 넘게 방치된 시민 안전

박수기 의원은 "신장암 및 중추신경계 손상을 유발하는 1급 발암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TCE)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이 하남산업단지 지하수에서 각각 최대 466배, 284배 초과 검출됐다”라며 “이 사실을 광주시와 광산구는 이미 2022년부터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아무런 안전조치도 없이 2년 넘게 광주 시민들을 위험에 방치했다”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발암물질의 지하수 오염은 인접 주거지역인 수완지구 생활용수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됐다. 2년이 넘게 이를 방치한 행정은 무능과 고의적인 침묵"이라고 규정하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박 의원은 “지하수 흐름으로 보면 오염물질은 하남산단에서 수완지구와 풍영정천 방면으로 확산하고 있으며, 주거지 내 생활용 관정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하는 발암물질 TCE·PCE가 검출된 상황”이라며 “이것은 단순한 행정착오를 넘어 시민의 생명과 직결된 재난 수준의 사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용역보고서로 확인된 오염 실태… 광주시의 소극적 대응 도마 위

광주시는 이미 2019년 수립한 '지하수 관리계획'에 따라 하남산단 및 인접 지역의 지하수 오염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총 1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진행한 하남산단 지하수·토양오염 정밀 조사에서도 TCE, PCE가 지속적으로 검출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인접 주거지역인 수완지구의 생활용수 지하수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되어 오염의 심각성을 더했다.

그러나 오염 사실은 용역조사의 결과보고서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대응조치나 정보도 없이 시민들이 2년이 넘게 발암물질에 노출된 채 생활하고 있었다.

박수기 의원은 강기정 시장에게 직접적인 질타를 쏟아냈다.

그는 "자치분권 시대에 지방정부의 첫 번째 책임과 의무는 시민의 안전과 건강 지킴이"이며, "시민의 건강이 1급 발암물질 오염에 방치된 채 위협을 받고 있는데, 광주시 권한이냐 구청의 사무냐로 시간을 보내고 회피할 게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의원은 “1급 발암물질의 오염과 방치를 두고도 시장이 아무런 사과도, 조치도 하지 않는 것은 직무 유기에 가깝다”라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광주시는 즉시 수완지구 관정에 대한 사용 중지 행정조치를 단행하고, 오염확산 차단 및 정화에 나서야 한다”라며 “시민의 생명과 안전보다 우선하는 행정은 없다. 지금 당장 긴급 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정화 예산 150억 원 확보 및 오염확산 방지에 착수하라”고 강력히 요구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이 기사는 시사토픽뉴스 홈페이지(www.sisatopic.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sisatopic.com/article.php?aid=163600486762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16일 06:3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