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훈 전북도의원, 전북 사과산업, 고령화·인력난 속 대책 시급…유통체계 혁신 필요

경북 안동은 선별·경매 일원화 시스템, 전북은 농가 부담 가중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2025. 09. 10(수) 15:54
윤정훈 전북도의원
[시사토픽뉴스]전북 사과 산업이 고령화와 인력난으로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생산 단계에서조차 인력이 부족하고, 유통·가공 체계는 경북 안동 등 타 지역에 비해 뒤처져 있어 농가 경쟁력 약화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지역 농가와 전문가들은 전북 차원의 종합적 대응책 마련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무주·진안·장수·남원 등 전북 사과 재배 농가들은 수확 후 선별과 유통 과정에 필요한 인력을 구하지 못해 이중고를 겪고 있다. 일부 농가는 1차 선별만 마친 뒤 경북 안동에 출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반면 안동은 농산물이 원물로 입고되면 현장에서 선별·경매까지 일괄 처리하고 대금도 신속히 지급하는 선진 유통체계를 갖추고 있다. 전북 농가들이 “가장 부러운 부분”이라고 토로하는 이유다. 전북 내에서는 장수군이 비상품 가공 확대, 산지유통센터(APC) 활용 등 보완책을 추진 중이나, 시설 확충과 인력 확보 문제는 여전히 큰 걸림돌로 남아 있다.

윤정훈 의원은 2023년 도정질문에서 이미 이 문제를 지적하며 도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한 바 있다. 그는 “사과와 같은 고부가가치 작목이 제대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생산 이후 단계, 즉 유통·가공 체계 혁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농가가 생산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공공이 주도하는 산지 유통·가공 시스템과 통합 조직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지적하며, 전북도가 이에 대한 구체적 대책을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도정질문 이후 2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전북 사과산업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어 혁신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 사과 농가의 목소리가 높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전북 사과 주요 산지의 윤정훈·박용근·전용태·이정린·임종명 의원 등은 아래와 같이 전북특별자치도에 대책을 제안하고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첫째, 전북 사과 주요 산지(무주·진안·장수·남원 등)에 산지 공판장 및 APC를 확충하여 유통 효율성을 높이고 농가 부담을 경감해야 한다.

둘째, 지역 간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경북 안동 모델과 유사한 집적 유통 거점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셋째, 비상품 가공 활성화를 위한 가공시설 확충과 판로 확보도 병행돼야 한다.

넷째, 농가가 스스로 대응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유통 전문 인력 양성, 농가 조직화, 공공·민간 투자 유도 등 제도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고령화와 인력난 속에서 전북 사과 산업은 존폐의 기로에 서 있다. 윤정훈 도의원이 지적한 것처럼, 생산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유통·가공 중심 체제로 전환하지 않는다면 경쟁 지역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수밖에 없다. 전북특별자치도가 산지 공판장 확충, 가공·유통 체계 혁신, 농가 지원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할 때 비로소 전북 사과 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가 가능할 것이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이 기사는 시사토픽뉴스 홈페이지(www.sisatopic.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sisatopic.com/article.php?aid=166276754179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11일 05:3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