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 개인형 이동장치(PM) 안전문화 정착 위해 민·관 협의체 출범 12개 기관 참여…맞춤형 안전대책, 홍보, 교육 통해 안전문화 조성 나서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
2025. 09. 14(일) 15:55 |
![]() 용인특례시, 개인형 이동장치(PM) 안전문화 정착 위해 민·관 협의체 출범 |
이번 협의체에는 용인시청, 용인교육지원청, 용인동·서부경찰서, 녹색어머니회, 공유 PM 운영사 등 총 12개 기관과 관련 부서가 참여했으며, 지난 10일 시청에서 첫 회의를 열어 협력 방안과 대응책을 논의했다.
협의체는 정기 회의를 통해 무분별한 ‘PM’ 주차로 인한 보행 불편, 보호구 미착용, 청소년 무면허 운행 등 개선이 필요한 사례들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 실정에 맞는 맞춤형 안전대책을 수립하고, PM 운영사와 협력해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시민의 체감도를 높일 수 있는 홍보·교육 활동도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협의체는 오는 11월 ‘PM, 편리함 너머의 책임”을 주제로 학교 주변과 주요 생활권에서 안전수칙을 홍보하고 필요시 계도 활동을 펼치기로 했다. 헬멧 착용, 안전 운행, 올바른 주차 방법 등을 오프라인을 비롯해 온라인에서도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홍보할 예정이다.
이상일 시장은 “최근 청년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PM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안전사고 위험과 시민 불편이 높아지고 있어 대응을 위한 민관협의체를 출범했다”며 “앞으로 협의체 논의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현장 중심적인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홍보와 교육도 강화해 공유 모빌리티 이용이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불편을 끼치지 않도록 하는 문화가 정착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