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의회 손남일 도의원, “대불산단, 조선업 넘어 해상풍력 허브로 전환해야”

단일 산업 의존 구조 한계 분명… 해상풍력 신성장 전략 제시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2025. 09. 18(목) 16:58
전라남도의회 손남일 도의원
[시사토픽뉴스]전라남도의회 손남일 의원(영암2, 더불어민주당)이 9월 18일 열린 제393회 임시회 도정질문을 통해 대불국가산업단지의 현황과 문제점을 짚고 해상풍력 산업 중심지로의 체질 개선을 주문했다.

손 의원은 “1990년대 조선산업의 메카로 태동한 대불산단은 전성기 때 800여 개 기업, 3만여 명 노동자가 종사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고용이 급감하면서 지역경제가 큰 타격을 입었다”며, “단일 산업 의존 구조의 취약성을 여실히 보여준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로 대형 조선사의 영업이익은 급증했지만 대불산단 전체 생산과 고용은 소폭 증가에 그쳤다”며, “조선업 호황이 곧바로 산단 전반의 회복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손 의원은 “대불산단이 다시 위기에 휩쓸리지 않으려면 지금이야말로 산업구조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며, “해상풍력 산업 생태계로의 전환을 적극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 공모사업으로 추진 중인 서남권 산단 대개조 사업에 대해서도 “스마트 그린산단 조성, 통합관제센터 구축 등은 필요하지만 시설 개선 중심에 그치고 있다”며, “벤딩머신 구축, 대불항 확장, 대형 구조물 조립장 조성 등 기업 수요에 맞춘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특히 손의원은 “해상풍력 산업은 설계ㆍ제작ㆍ설치ㆍ운영ㆍ정비 전주기를 포괄하는 전략 산업으로, 수천 개 일자리와 수천억 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며, “조선ㆍ해양플랜트 기반을 갖춘 대불산단은 해상풍력 기자재 제작과 유지ㆍ보수 거점으로 발전할 최적지”라고 역설했다.

이에 대해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대불산단을 해상풍력 대형 구조물 생산단지로 육성하고, 영암 기업도시에 기자재 특화단지를 조성해 공급망을 구축하겠다”며, “국산화와 자급률 향상을 위한 기업 지원과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답변했다.

손 의원은 끝으로 “대불산단의 미래는 곧 전남 해상풍력 산업의 성패와 직결된다”며, “도의 명확한 전략과 실행 의지를 바탕으로 대불을 해상풍력 산업 허브로 육성해 새로운 도약을 이끌어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이 기사는 시사토픽뉴스 홈페이지(www.sisatopic.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sisatopic.com/article.php?aid=166723647061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18일 20:5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