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강성의 의원, '장애인학대 재발 막으려면 인력확충과 피해장애아동 쉼터 설치 시급' 2인 1조 원칙도 못 지키는 현실… 제주형 장애인 보호체계 재정비해야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
2025. 10. 20(월) 09:53 |
![]() 제주도의회 강성의 의원 |
강 의원은 “이는 개인의 과실이 아닌, 장애인 학대 대응 체계의 구조적 문제”라며 “제주도가 장애인 인권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현장 대응 인력조차 확보하지 못한 것은 심각한 행정 공백”이라고 비판했다.
강 의원은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4년 장애인학대 현황보고서'를 인용하며, “제주지역의 장애인학대 관련 신고 접수는 일반사례 65건, 학대의심사례 111건으로, 대구·인천·광주·전북보다도 많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또한 “사건 1건당 평균 상담 및 지원 횟수가 15.7회로 전국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며 “이는 인력 부족으로 인해 2인 1조 대응 원칙이 현실적으로 지켜지기 어려운 상황임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강 의원은 “장애인 학대 대응은 출동, 상담, 보호조치, 사후관리 등 복합적 업무가 요구되지만, 현재 제주도의 인력 구조로는 이를 감당하기 어렵다”며 “도정이 장애인권익옹호기관 및 관련 시설의 인력 충원을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강 의원은 “제주도에는 피해장애인을 위한 쉼터가 운영되고 있으나, 이는 성인 피해자를 중심으로 한 긴급 보호와 일시 거주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피해장애아동은 성장단계별 교육, 정서, 생활지도의 지원이 필요한데, 현 체계로는 이를 충족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피해장애아동 발생 건수만 보더라도 제주지역은 10건으로 전국 19개 지역 중 9번째에 해당한다”며, “피해 장애아동이 안전하게 보호받고 회복할 수 있는 전문 쉼터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 의원은 “현재 제주지역에 운영 중인 아동일시보호쉼터 내에 피해장애아동을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과 편의시설을 확충하거나, 기존 피해장애인쉼터에 전문 인력을 보강하는 등 행정이 현실적 대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피해장애아동 쉼터는 단순히 머무는 공간이 아니라, 양육·학업·정서지원을 통한 회복과 자립을 돕는 전문 복지시설로 기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 의원은 “장애인 학대 문제는 단순한 범죄가 아니라, 인력 부족과 제도 미비가 결합된 구조적 문제”라며 “제주도가 책임감을 가지고 인력 확충과 피해장애아동 쉼터 설치를 포함한 제주형 보호체계 구축에 나서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