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친화 일자리 1번지' 전북…어르신 사회참여 실현

전국 1위 노인일자리 참여 비율… 노인 5명 중 1명 활동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2025. 11. 18(화) 10:49
'고령친화 일자리 1번지' 전북…어르신 사회참여 실현
[시사토픽뉴스]전북특별자치도가 공격적인 노인일자리 정책으로 '고령친화 일자리 선도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단순 소득 보전을 넘어 어르신의 사회참여와 지역공동체 회복을 동시에 실현하는 사회안전망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18일 도에 따르면 2026년 전북 노인일자리 배정 인원은 8만 9,633명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 45만 4,045명 대비 19.7%의 참여율을 기록했다. 전국에서 최고 수준이며, 평균(9.3%)의 두 배를 넘는 수치다. 실질적으로 노인 5명 중 1명이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셈이다.

전북의 노인일자리 사업은 해마다 꾸준히 확대됐다. 2023년 6만 8,901명에서 2024년 7만 8,473명, 2025년 8만 6,714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전북의 고령화율은 26.3%로 전국 평균(20.9%)보다 높지만, 오히려 이를 기회로 삼아 어르신들의 사회참여 기회를 폭넓게 보장하며 '일하는 고령사회' 모델을 구축했다.

노인일자리 사업은 2004년부터 시작된 대표적인 고령층 지원 정책으로, 공익활동(환경정비·안전지킴이 등), 역량활용(보육·돌봄·복지시설 지원 등), 공동체사업단(소규모 매장·공방 운영), 취업지원 등으로 구성된다. 일정한 소득 제공은 물론 사회적 고립 예방과 신체적·정신적 건강 유지에도 기여하며, 최근에는 지역사회 돌봄·안전·생활지원 등 사회적 기여형 일자리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도는 노인일자리 사업 예산 매칭에서 광역시를 제외한 도 단위 중 유일하게 도비 20%를 부담한다. 이는 전국 평균(15%)보다 5%p 높고, 충남·전남·경북·경남(15%), 강원(10%), 경기(7.5%), 충북(5%) 등 다른 도를 앞서는 수준이다. 2026년 총 예산은 4,242억 원이며, 이 중 순지방비는 2,121억 원으로 서울, 경기에 이어 전국 3위 규모다. 인구 대비 재정 투입이 큰 만큼 사업 확산 효과도 뚜렷하다.

전북은 공익활동형뿐 아니라 다양한 일자리 유형을 고르게 확대하며 '전북형 일자리 모델'을 완성하고 있다. 2026년 유형별 참여 인원은 공익활동형 6만 2,991명, 역량활용형 2만 1,063명, 공동체사업단 4,014명, 취업지원형 1,565명이다.

특히 역량활용형 일자리는 2023년 8,262명에서 2026년 2만 1,063명으로 4년간 2.5배 이상 급증했다. 베이비붐 세대와 신노년층의 전문성을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이 유형은 '단순노동 중심'에서 '사회적 기여와 자아실현의 장'으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상징적 변화로 꼽힌다.

도는 지난 6월 '노인일자리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해 도내 전 시·군에 배포하고, 사고 예방과 현장 안전수칙 준수를 강화하는 등 체계적인 안전관리 기반을 구축했다.

현재 도내 모든 시·군에서는 시니어안전모니터링단 684명이 활동 중이다. 역량활용형 일자리의 일환인 모리터링단은 현장에서 참여자의 안전상태를 확인하고 활동환경의 위험요소를 점검하며 노인일자리 안전망을 보강하고 있다.

내년에는 수행기관에 전담 안전관리 인력 50명을 신규 배치할 계획이다. 안전사고 예방·관리, 현장관리·지도, 사고 사후 관리 등을 전담하도록 해 현장의 대응 역량을 높이고 더욱 안전한 노인일자리 환경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한 맞춤형 노인일자리 발굴과 민·관 협력체계 강화, 안전관리와 현장 대응력 향상 등에도 나선다. 특히 내년 3월부터 본격화되는 '통합돌봄체계'와 연계해 돌봄 및 안전·생활지원 분야를 중심으로 역량활용형 일자리를 새롭게 발굴·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마을 환경정비, 아동·노인 돌봄 지원, 공공시설 보조, 지역 안전점검 등 생활 밀착형 일자리가 활발히 운영되며 참여 어르신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돌봄 인프라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전북은 도와 시군, 수행기관이 한마음으로 어르신 일자리 확충에 앞장서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어르신이 존중받고 활기차게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전북이 고령친화 사회의 표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이 기사는 시사토픽뉴스 홈페이지(www.sisatopic.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sisatopic.com/article.php?aid=169463545675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8일 16:5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