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농기원, 녹차 미활용 자원으로 ‘호지차 드립백’ 개발 업사이클링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전환…편의성 높아 호응 기대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
| 2025. 11. 25(화) 14:03 |
![]() 호지차 드립백 사진 |
호지차 드립백은 지역 농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전남 차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업사이클링 성공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녹차를 생산할 때 선별 단계에서 잎과 어린 가지 등 사용하지 못하고 남는 자원이 다량 발생한다.
전남농업기술원 차산업연구소는 이들 자원에 잠재적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고온에서 단계적으로 볶아 쓴맛과 떫은맛을 줄이고 부드럽고 구수한 풍미를 살리는 호지차 로스팅 제조기술을 확립했다.
특히 개발된 호지차는 커피 제품 중심으로 활용되던 ‘드립백 포장기술’을 차 제품에 적용해 상품화한 것이 특징이다.
드립백 방식은 컵에 걸친 뒤 뜨거운 물만 부어 바로 우려낼 수 있어 접근성과 편의성이 높다.
긴 우림 과정 없이도 안정적 맛을 낼 수 있어 휴대성과 편의성을 중시하는 젊은 소비자층의 호응이 기대된다.
호지차 드립백 개발은 단순한 부산물 재활용을 넘어, 새로운 기능성과 시장성을 갖춘 차 제품으로 재탄생시킨 고부가가치 업사이클링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김행란 전남도농업기술원장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미활용 자원을 새로운 자원으로 재해석해 부가가치를 높인 성과”라며 “앞으로도 소비 편의성과 다양성을 갖춘 차 제품을 지속 개발해 지역 차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