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4월말 밀 생육사진 |
붉은곰팡이병은 출수·개화기 이후 연속강우 3일 이상의 온난·다습환경에서 발생확률이 높으며, 감염된 곡물은 낟알 껍질이 짙은 갈색으로 변하고, 점차 분홍색 곰팡이로 뒤덮이며 영양분이 제대로 채워지지 않게 되어 수확량 감소와 품질 저하로 이어진다.
더 큰 문제로 이 곰팡이가 생성하는 독소가 사람과 가축에게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방제 방법으로는 적용약제를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맞게 살포하고, 수확 시 정선기 바람 속도를 높여 껍질과 감염된 낟알 일부를 제거하고 맑은 날 수확하여 수확 직후 적정기준에 맞게 건조하여야 한다.
김차호 기술보급과장은“맥류(밀, 보리)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농업 현장 예찰을 강화하고, 날씨 예보를 확인하여 병 발생 환경이 의심되는 즉시 방제가 추진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