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운대수목원 |
최근 지구온난화 등으로 탄소 저감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국제사회에서는 2050년 탄소배출 중립 목표를 이루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정부 역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고 건강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2020년 10월 28일 ‘2050 탄소중립 선언’ 및 12월 10일 ‘2050 탄소중립 비전’을 선포했다.
또한, 2015년 국내배출권 거래제 시행으로 정부의 인증을 받은 온실가스 감축 실적 거래가 가능해져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제도 활용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시는 오는 2040년까지 산림, 공원, 녹지, 공동주택 부지 등 총 300헥타르(ha) 규모의 수목을 활용해 약 1천500톤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2025년)부터 15년간 외부사업 등록과 인증, 배출권 확보 등 절차를 단계적으로 진행한다.
이 사업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 이후 조성된 수목 식재지 중 법적 의무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대상지는 산림 식생복원지, 산불피해지, 공동주택 내 법정 조경 면적 외 추가 식재지 등이다.
시는 우선 대규모 식재지를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이후 단계적으로 소규모 부지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친환경 기업 유치 기반 마련과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파급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탄소중립 실천을 통해 사회가치경영(ESG) 도시로서 부산의 위상을 높이고, 국내외 기업의 기후 규제 대응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시는 지난 6월 산림청이 주관한 '외부사업 등록 지원 공모사업'에 선정돼, 환경부 등록에 필요한 지원(컨설팅) 용역비 약 5천500만 원을 절감하는 성과를 거뒀다.
공모 선정지는 ▲해운대수목원 내 식생복원지 20헥타르(ha) ▲해운대구 운봉산 산불피해지 27헥타르(ha) 총 2곳으로, 현재 환경부 등록을 위한 증빙자료 보완과 현장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시는 올해 말까지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내년 3월까지 외부사업 등록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2026년)부터 2030년까지 탄소배출권 약 235톤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서며, 산림 감시(모니터링), 탄소량 검증, 상쇄배출권 판매 등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5년 단위로 탄소배출권을 확보하며, 2040년 이후 최대 두 차례(각 15년) 연장이 가능해 최장 45년간 지속될 수 있다.
안철수 시 푸른도시국장은 “수목 식재를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탄소중립 정책을 꾸준히 펼쳐 탄소배출권 확보 선도도시로 나아가겠다”라고 전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