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청 |
총사업비 15조 1천억 원이 투입되는 진해신항은 지난 8월 본격 착공에 들어갔다. 진해신항이 100% 경남도 행정구역에 속함에 따라 경남으로 대한민국 해양물류의 중심축 이동이 시작됐고, 이에 항만 개발과 운영을 담당하는 부산항만공사와의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이날 경남도는 부산항만공사에 항만배후단지를 정주와 산업이 공존하는 글로벌 항만배후도시로 조성하는 데 사업시행자로 참여해 줄 것과, 지역 건설업체·장비·인력의 참여 확대를 요청했다.
신항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연도 해양문화공간’의 적기 조성과 북극항로 거점과 연계한 비즈니스센터 건립에 부산항만공사가 나서줄 것을 논의하며, 진해신항을 중심으로 한 동남권 트라이포트 물류체계 조기 구축을 위한 협력 강화도 당부했다.
특히, 도는 ‘항만위원 추천권 및 명칭 정상화’가 최우선 과제임을 강조했다. 진해신항이 완공되면 신항만 전체 선석의 61%가 경남에 포함돼 경남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커지게 되므로, 현재 부산 2명, 경남 1명으로 불균형한 항만위원 추천권을 균등하게 배분하고, 기관 명칭 또한 ‘부산경남항만공사’로 변경해야 한다고 했다.
이러한 제도적 균형이 신항과 진해신항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경남-부산의 공동 발전을 이끄는 견고한 토대가 될 것이라며 부산항만공사의 긍정적인 검토와 협조를 요청했다.
박명균 행정부지사는 “진해신항은 경남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자 대한민국 해양물류의 미래”라며, “부산항만공사와 유기적 협력을 바탕으로 진해신항을 세계 최고의 스마트 메가포트로 건설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