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96회 광산구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사진 |
윤영일 의원은 “학교 밖 청소년은 사회적 고립, 미래에 대한 불안 속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그들에 대한 지원은 한 사람의 삶을 지키는 일이라는 인식을 갖고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고 서두를 밝혔다.
작년 기준 광산구 학교 밖 청소년은 450여 명으로 광주에서 가장 많고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 지원센터의 경우 타 자치구들이 전용 건물을 확보한 것에 비해 광산구는 우산LH 1단지 관리동 2층에 하나의 강의실과 상담실뿐인 실정이다.
윤 의원은 “지원센터가 위치한 층에는 경로당과 공용세탁실뿐 아니라 아파트 안내방송이 수시로 나와 수업에 방해가 되고, 상담실은 강의실 한쪽에 커튼 하나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며 “학교 밖 청소년 대다수도 현재 지원센터 공간의 부족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광산구가 지원센터를 송정다누리 문화의집 등의 산하 시설로 이전하도록 논의하기도 했으나 중단·무산됐고, 시급하지 않다는 이유로 수년째 제자리걸음이다”며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해 쾌적하게 공부하고 마음 놓고 이야기하며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은 우리의 미래고, 사회의 주인으로 성장하도록 뒷받침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인 만큼 광산구와 광주시, 광주시교육청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지원을 촉구하며 5분 자유발언을 마쳤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