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의회 장병국 도의원, “청정어장 재생, 생태기반 복원 없인 효과 없다” |
장 의원은 “도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청정어장 재생사업이 침적물 및 오염퇴적물 제거에만 집중되고 있는 현실에서는, 이상기후로 인한 고수온과 빈산소수괴 발생이라는 새로운 변수 앞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2024년 추진 완료된 남해 강진만 2구역의 청정어장 재생사업 결과보고서에서도 사업 이후 수질 개선과 어장 생산성 향상이 뚜렷하지 않았고, 이는 해역 내 용존산소 급감 및 수산생물 대량폐사 등 이상기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장 의원은 “같은 해 전남 득량만과 여자만 등 새꼬막 주산지에서도 유사한 사업이 진행됐지만, 용존산소 농도 2.9mg/L 이하 급락으로 새꼬막이 전멸하는 등 극심한 피해가 발생했다는 점을 볼 때, 단순한 물리적 정화 작업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따라 도에 대해 침적물 제거 외에도 해조류 군락 조성, 잘피림 확대 등 산소 공급과 순환을 도모하는 생태기반 해양복원 방안을 병행 추진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장 의원은 “청정어장 재생사업이 진정한 의미의 해양생태계 복원과 어업 기반 유지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빈산소수괴와 같은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적이고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며 “앞으로의 사업계획 수립 시 생물학적 회복 전략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예비심사에서는 2025년도 청정어장 재생사업 예산이 당초 25억 원(국비 12.5억, 도비 2.5억, 시군비 10억)에서 1회 추경을 통해 총 50억 원(국비 25억, 도비 5억, 시군비 20억)으로 증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