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천시, 해외여행 시 치쿤구니아열 주의하세요! |
치쿤구니야열은 치쿤구니야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발열과 함께 심한 관절통, 근육통, 발진 등이 주요 증상이다. 감염된 모기에 물린 후 보통 3일~7일 이내 증상이 나타나며, 일부는 두통이나 피로감, 드물게 심근염이나 신경계 이상 같은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이 질환은 주로 인도양 주변 국가(레위니옹, 마요트 등), 동남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유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 광둥성 지역에서도 수천 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해당 지역 여행 시 감염 예방을 위해 각국에 조치를 촉구한 상황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2013년 이후 지금까지 총 71명의 치쿤구니야열 환자가 신고됐으며, 모두 해외에서 감염되어 유입된 사례였다. 특히 20대~50대 성인층에서 발생이 많고, 주 감염지는 인도, 필리핀,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이 대부분이다. 매개 모기는 숲모기(이집트숲모기·흰줄숲모기)이며,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치쿤구니아열을 모두 매개한다. 이 중 주요 매개 모기는 이집트숲모기이지만 국내에는 서식하지 않고, 흰줄숲모기만 이천 지역을 포함한 국내 전역에 서식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해외에서 감염된 환자가 귀국할 시 지역사회로의 2차 전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시민들의 철저한 예방이 요구된다.
치쿤구니야열은 현재까지 백신이나 특효 치료제가 없어,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이다. 보건소 관계자는 “치쿤구니야열은 국내 2차 전파 사례는 없지만, 해외여행을 통해 언제든 유입될 수 있는 질병”이라며, “여행 전 감염병 정보를 확인하고, 모기 차단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귀국 후 발열이나 통증 등 의심 증상이 생기면 가까운 병원을 찾아 반드시 ‘해외여행을 다녀왔다’라는 사실을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최준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