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 '15분도시 안전한 학교 가는 길' 조성한다… 협의체 구성 논의 |
시는 지난 10월 24일 시청에서 시 미래혁신부시장 주재로 국장급 첫(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관련 실·국, 부산경찰청 교통과, 부산교육청 안전총괄과 등 관련 기관이 참석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학생 중심의 완전한 안전 통학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업 추진 방식(차도 이용 시간 제한 등)에서 벗어나, 보행자와 차량의 동선 분리가 중요하다는 점에 공감했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민관이 협력해 주요 사업 추진 방향을 논의하고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시는 경찰청, 교육청을 비롯해 학부모, 시민단체, 교통·교육전문가 등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15분도시 안전한 학교 가는 길 협의체'를 구성해 머리를 맞댈 계획이다.
협의체는 학교 통학로 사고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계획을 논의한 후, 프랑스 파리와 같은 '차 없는 길' 등 3가지 사업유형을 통해 안심 통학로를 조성한다.
시는 사업유형을 3가지 ➊차 없는 길 ➋보행자 전용 보도 ➌보행자 안심 도로로 구분하고, 구·군에서 신청받아 사업 대상지를 발굴할 예정이다.
그중 경사지, 이면도로* 등 사고 위험이 큰 지역이나 학생·학부모 요청이 있는 지역에 대해 우선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 이면도로 : 보도와 차도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좁은 도로
특히, 사업유형 중 ‘차 없는 길’이나 ‘보행자 전용 보도’는 해당 지역 주변 일방통행 길 지정이나 도로다이어트 등에 관해 인근 주민들과 상가에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한다. 이에, 협의체는 수요자인 학생 중심으로 고민해 시민들의 협조와 동의를 구할 예정이다.
또한, 협의체는 사업 추진을 위한 합동 점검 및 평가, 결과에 대한 보완까지 연간 2회 정례 회의와 수시 실무협의회를 통해 안전한 학교 가는 길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성희엽 시 미래혁신부시장은 “안전한 통학로 조성은 미래세대를 위한 최우선 과제”라며 “경찰청과 교육청, 시민과 함께하는 협력 체계를 통해 학생들이 안심하고 걸을 수 있는 15분도시를 만들어 가겠다”라고 전했다.
2025.10.27 (월) 03:20













